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참 좋은데요.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이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가끔씩 우리 주변에 쓰레기가 버려져 있거나, 공장에서 시커먼 연기가 나올 때면 마음이 좀 아프죠.
이렇게 환경을 망가뜨리는 행동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바로 그 약속이 '오염자부담원칙'입니다. 이 원칙은 말 그대로 환경을 더럽힌 사람이 그에 따른 비용을 모두 책임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먹고 쓰는 물건을 만들거나 생활하면서 생긴 쓰레기나 오염은 그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죠.
우리 동네를 깨끗하게 지키는 약속, 오염자부담원칙
≣ 목차
1. 오염자부담원칙, 왜 중요한가요?
옛날에는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면서 나온 오염 물질을 아무렇게나 버려도 괜찮다고 생각했어요. 그 피해는 오롯이 우리 모두가 함께 감당해야 했고요. 하지만 이제는 달라졌습니다. 오염자부담원칙 덕분에 환경을 해치는 행위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예를 들어, 기업은 오염 물질을 함부로 버리면 벌금을 내거나 깨끗하게 만드는 시설을 따로 갖춰야 합니다. 그러면 기업들은 오염을 줄이려고 노력하게 되고, 결국 우리 모두가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이 원칙은 오염을 막기 위한 약속이자, 우리가 사는 세상을 더 깨끗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오염자부담원칙은 '차이나는 클라스'에서도 환경재단 최열 이사장의 강의를 통해 중요성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영상은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 우리가 매일 만나는 오염자부담원칙
이 원칙이 멀고 어려운 이야기가 아니에요. 우리 생활 속에 이미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쓰레기 종량제입니다. 쓰레기 봉투를 사서 버려야 하는 것도 바로 오염자부담원칙 때문이죠. 쓰레기를 많이 버리는 사람이 그만큼 더 많은 돈을 내는 겁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쓰레기를 줄이려고 노력하게 되고, 분리수거도 더 열심히 하게 됩니다.
또, 우리가 마시는 음료수 병이나 과자 봉지처럼 물건을 만드는 회사들은 이 포장재를 다시 깨끗하게 재활용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일부 부담합니다. 이를 ‘생산자책임재활용’이라고 부르는데, 이것 또한 오염자부담원칙이 적용된 좋은 예입니다. 이처럼 이 원칙은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작은 쓰레기 하나에도 숨어 있답니다.
3. 우리가 함께 지켜나가야 할 약속
오염자부담원칙은 환경을 깨끗하게 지키는 데 꼭 필요한 약속입니다.
하지만 이 원칙이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오염의 원인을 딱 한 사람에게만 물어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오염으로 인한 피해 금액을 정확히 따지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이 원칙을 통해 우리 모두가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는 점입니다.
오염자부담원칙을 이해하고,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하거나 아껴 쓰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이 좋은 약속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우리 손으로 깨끗한 환경을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기 위해 다 함께 노력해봐요!